본문 바로가기

연차휴가2

임시 공휴일 근로 시 추가 임금 발생 유무와 처리 방법 이번 설명절 연휴는 원래 1월 28일(화) ~ 1월 30일(목)까지입니다. 그런데 1월 9일에 27일(월)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는 뉴스 기사가 발표되었죠? 이날 쉬는 분들도 계시고 상관없이 정상 근무를 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오늘은 이런 분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임시 공휴일 근무시 추가 임금 발생 유무와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임시 공휴일, 유급휴일로 처리가 될까?임시 공휴일은 정부나 회사에서 지정한 특별한 공휴일로, 법정 공휴일(예: 설날, 어린이날 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근로기준법 상 임시 공휴일은 유급휴일로 자동 지정되지 않으며, 회사의 취업규칙 및 단체협약에 따라 처리 방식이 달라집니다.임시 공휴일 처리 기준초과 근무수당 계산 빠르게 하기 구분유급휴일로 지정된 경우유급.. 정보/경제상식 2025. 1. 12.
연차휴가를 사용하면 주휴수당이 발생할까? 주휴수당, 연차휴가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저는 회사에서 경영지원, 행정, 회계 업무를 하고 오랫동안 해 왔는데요, 얼마 전 연차를 사용해도 주휴수당이 나오는지를 문의한 분이 계셨습니다. 의외로 이 내용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차 휴가 사용 시 주휴수당 발생 여부와 그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주휴수당이란?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했을 경우, 1주에 1회 지급되는 유급휴일의 임금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이 발생하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주 15시간 이상 근무 소정근로일 개근 소정근로일은 근로계약서 상에 명시된 실제 근무일을 의미하며, 연차휴가와 같은 휴가는 근로의무가 면제된 날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연차휴가를 사용한 경우 이 .. 정보/경제상식 2025.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