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정기예금금리비교, 고금리 예금을 빠르게 확인하기

지니픽 2025. 3. 15.

최근 금리가 계속 변동하면서 어디에 돈을 맡기는 게 가장 유리한 선택인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정기예금은 1인 당 5,000만 원까지 금융기관 별로 원금 보장이 확실한 만큼 여전히 인기 있는 재테크 수단인데요. 하지만 은행마다 금리 조건이 다르고, 비대면 상품도 많아져서 비교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3월 기준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2025년 정기 예금 금리 비교

 

 

금리 비교가 중요한 이유

같은 돈을 맡겨도 은행마다 다른 금리로 추후에 이자 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1,000만 원을 12개월 정기예금으로 넣었을 경우, 금리에 따라 이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은행 예금 금리(연) 1년 후 예상 이자(세준)
A은행 3.60% 360,000원
B은행 4.10% 410,000원

금리가 같더라도, 비과세 가능 여부, 세후 이자, 가입 조건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지금 바로 금리 비교하고 시작하기

주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2025년 3월 기준)

은행명 12개월 금리(연) 비대면 가입 여부 비고
국민은행 3.60% 가능 비대면 가입 가능
신한은행 3.55% 가능 앱 전용 상품 있음
우리은행 3.50% 가능 신규 고객 우대 금리
하나은행 3.65% 가능 하나원큐 비대면 전용 상품
농협은행 3.40% 가능 NH올원e예금 비대면 가능

모두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고,

우대금리 조건(급여이체, 자동이체 등록 등)을 충족하면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025년 3월 기준)

상품명 금리(연) 조건 특징
케이뱅크 3.00% 비대면, 신규 고객 우대 간편 가입, 고금리 제공
토스뱅크 3.00% 제한 없음 소액 가입 가능, 자유 추가 입금

 

 

 

 

⇨ 비대면 가입 필수

⇨ 소액 1만 원부터 가입이 가능해서 접근성이 높습니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025년 3월 기준)

은행명 금리(12개월 기준, 연) 비대면 가입 비고
SBI저축은행 3.60% 가능 사이다뱅크 앱 전용 상품
OK저축은행 3.60% 가능 인터넷뱅킹.앱 가입 가능
웰컴저축은행 3.60% 가능 웰컴디지털뱅크 앱 상품

 

 

⇨ 저축은행도 예금자보호법 적용

⇨ 1인당 금융기관 별로 5천만 원까지 원금+이자 보호

정기예금 가입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구분 설명
이자소득세 기본 15.4% 과세
비과세 종합저축 자격 충족 시 가입 가능, 연 3천만 원 한도
예금자 보호 한도 금융기관별 5천만 원(원금+이자 포함)까지 보호
중도해지 금리 약정 금리보다 낮게 적용(일반적으로 0.1%~1%대)

 

가입 추천 정리

정기예금에 가입할 때는 단순히 금리만 보는 게 아니라,

  1. 비대면 고금리 상품을 우선 확인하고,
  2. 세후 실수령액(이자 수익)을 꼭 따져보고,
  3. 자금이 묶여도 괜찮은 기간을 정한 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① 시중은행은 안정성, ② 인터넷은행과 저축은행은 금리 메리트를 보고 분산 가입하는 것입니다.

또, 여러 곳에 나눠서 예치하면 예금자보호도 받고, 이자도 높게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은행별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대부분 누구나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은행 별로 APP 설치 후 5분 정도면 바로 가입할 수 있는 정기 예금으로 소중한 내 돈의 이자 수익을 높여 보세요!!

참고 자료
은행연합회 금리 비교 시스템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

 

댓글